목록what I Learnd/독서 (10)
HANA -J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어떻게 하면 매일 30분간 독서를 할 수 있을까? - 하루에 40분 일찍 일어나기 - 유튜브 또는 SNS보는 시간 줄이기 => 후자가 나에게는 더 적합하다고 생각해서 실천하려고 노력중이다. 2. 단기적으로는 이득이 없지만 장기적으로 이득이 있는 수 - 운동과 독서 - 투자 공부 => 크게 돈이 들지 않는다, 나의 시간과 관심만 있으면 된다. 습관이 되는게 가장 best! 3. 내가 경험한 성공적인 확률 게임은? - 국비로 개발 공부를 하고 회사의 규모와 위치 정말 아무거도 보지 않고 나를 채용해준 곳에 취업해본 것. => 본가가 대구였다. 학원도 대구였고,,,대구에서 일자를 찾기는 힘들었기에 (내실력으로 재택하는 회사 취업은 힘들었다...) 무작정 올라온 것! 독립한 것 4. 배워두면 좋은 도구들 ..
읽는中, 내생각 적기 연습 中 마음근력 강화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 인간의 뇌는 공동체의 어느 한 구성원이 느끼는 공포와 두려움이 다른 구성원들에게도 즉각적으로 전달 되도록 진화해왔다. ⤷ 가정환경이 중요하다. 부정적인 부모의 아래에서 자란 아이들은 부정적인 감정의 유발이 습관이 되었기 때문에 더 취약할 것이다. 부모는 아이 앞에서 늘 행복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 준비된 사람이 부모가 되어야 하고, 준비란 내 감정을 컨트롤 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분야에서든 높은 성취를 이뤄내는 사람들은 끈기, 집념, 동기, 회복탄력성, 열정, 집중력등의 비인지능력 수준이 높다. ⤷ 비인지능력도 근육처럼 내가 연습하면 이뤄낼 수 있다고 하니까 앞으로 책을 읽으며 해당 능력을 기르는 연습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세 가..
1. 본질 본질적 요소와 존재적 요소를 혼동하기 쉽지만, 구분하는 연습을 해야한다. 예를들어 야구에서 승리의 본질은 출루율이지 구단의 돈이나 선수가 아니다. 본질은 A가 A일수 있게 하는 요소이다. 기획자, 카피라이터, 마케터는 브랜드의 본질을 고객에게 안내해주는 역할을 해야한다. 따라서 본질을 쉽게 풀어내 고객에게 전달하는 역활을 하기위해 본질을 생각해내는 사고방식을 연습해야한다. 2. 소통 카피는 '감각'묘사와 '기능'묘사가 있다. 분리해서 생각할 부분은 아니다. 기능을 출발점으로 카피를 쓸때는 기능이 주는 감각의 결과를 생각해야하고 감각이 출발점이라면 말하고자 하는 기능을 고려해서 카피를 해야한다. 아래의 예로 확인할 수 있다.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카페 '가까운'이라는 단어는 '편리함'이라는 기능..
실제 사용자는 생각보다 포기가 빠르며, 눈에 띄는 요소들을 단숨에 선택하고 꼼꼼히 보지 않는다.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곳의 84%가 실제 아이 트래킹에서 측정된 응시 지점에 해당한다. 마우스 클릭 분석하기 마우스 클릭은 크게 무효 클릭, 유효 클릭, 전환 클릭, 비전환 클릭으로 분류된다. 무효 클릭 : 클릭 또는 이벤트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는 영역을 클릭한 경우 유효 클릭 : 클리커블한 요소를 클릭한 경우 전환 클릭 : 사용자가 페이지 내 가장 마지막으로 체류한 위치이자 마지막으로 소비한 콘텐츠, 사용자의 목적과 부합했음 비전환 클릭 : 디자이너가 설계한 인터랙션이 제공되는 경우 스크롤 도달률을 체류 시간과 함께 분석해야 하는 이유 스크롤 도달률만으로는 사용자가 훑어보..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는 UX정보 PV(Pave view) : 특정 웹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횟수 UV(Unique Visitor) : 중복된 pv를 제거한것, 특정 기간 내 실제로 방문한 사용자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 전환율 : 웹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 중 소정의 행위를 한 방문자의 비율 이탈율(반송률) : 한 페이지만 본 뒤 해당 사이트를 벗어난 방문행동의 비율 종료율 : 방문한 모든 페이지를 대항으로 1개 이상의 페이지를 보고 화면을 종료한 방문 행동의 비율 숫자와 관련된 지표 분석에서 고려해야할 다섯가지 1. 사용자가 활동한 행동의 정도와 양상 2. 상세 행동에 따라 달라지는 해석 - 스크롤이 도달한 위치에 사용자가 탐색한 행동이 존재하는가? - 높이별 체류 시간 정보는 어떻..
분할 정복 전략 -알고리즘이라기 보다는 문제를 풀기위한 방법론에 가깝다. -순서 1. 가장 간단한 경우로 기본단계를 찾는다 순서 2. 주어진 문제를 작게 줄여서 기본단계가 되도록 만드는 법을 찾아 낸다. -활용 예 ) 재귀함수로 합계구하기 1단계. 기본단계를 찾는다 (배열원소의 개수를 0개 또는 1개로 한다) 2단계. 재귀함수를 호출 할 때마다 호출 대상이 되는 배열의 크기가 점점 감소해야 한다. 퀵 정렬 - 정렬알고리즘, 선택정렬보다 빠르고 실제로 자주 사용된다. - 분할 정복 전략을 사용한다. - 배열에서 원소하나를 골라 그 원소를 기준 원소로 정한다. -순서 1. 모든 원소를 기준 원소보다 작은 원소와 큰 원소로 분류 (분할) 순서 2. 두개의 하위 배열에 재귀적으로 퀵 정렬을 호출한다. - 퀵 정..
재귀(recursion) - 재귀는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한다 - 이로인해 무한반복을 하는 함수를 만들기 쉽다. -재귀함수는 기본단계 => 자기자신을 다시 호출하지 않는 경우(무한반복에 빠지지 않게 해준다) 재귀단계 => 함수가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부분 으로 나누어져 있다. 스택 - 스택은 아주 단순한 자료구조이다. 데이터가 가장위에 push 되고 가장위에 데이터가 pull된다. - 호출스택은 재귀를 사용할 때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 컴퓨터는 호출스택이라 불리는 스택을 사용한다. 위의 그림과 같은 방식으로 여러개의 함수를 호출하면서 함수에 사용되는 변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호출 스택이라 한다. 재귀 함수에서 호출 스택사용 재귀는 확인해야할 상자더미가 없는데 어떤 상자를 열어야 하는지 확인가능한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