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hat I Learnd (71)
HANA -J
리소스에 집중 !! => 행위(조회, 등로그 수정, 삭제)는 HTTP 메서드 사용 ex) 회원 관리 시스템 회원 목록 /members -> GET 회원 등록 /members -> POST 회원 조회 /members/{id} -> GET 회원 수정 /members/{id} -> PATCH, PUT, POST 회원 삭제 /members/{id} -> DELETE HTTP API - 컬렉션 - POST 기반 등록 - 서버가 리소스 URI 결정 HTTP API - 스토어 - PUT 기반 등록 - 클라이언트가 리소스 URI결정 HTML FORM - GET, POST만 지원 => 위의 경우와 같이 HTTP메서드가 한정적이거나 메서드로 해결하기 애매한 경우 컨트롤 URI 사용 동사로 된 리소스 경로사용 (ex : /..

> 알고리즘 문제 안풀려서 정리하는 개념들.. 😢 잘하고 싶다 위의 내용을 계속 기억하고 있자 1. Reading 컴퓨터는 배열의 길이를 기억한다 ! 배열의 길이와는 상관없이 인덱스에서 요소를 읽어내는 속도는 같다. => 많은 자료를 읽어와야 할 때는 배열이 짱이다. 2. Searching 배열이 어디서 시작하는지 알지만 특정 값의 위치는 모르기 때문에 하나하나 다 까봐야 한다. => 시간이 좀 걸린다. 3. Insert 배열 중간에 값을 삽입해야한다 ? 요소를 맨 뒤에서 부터 하나씩 하나씩 옮겨주어야 함 최악은 ? 배열은 미리 저장공간을 확보해 놓는다. 만약 배열의 크기를 넘어서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면 더큰 배열을 만들고 기존 값을 복사하고 삽입 4. Delete 삽입과 비슷하다 중간 값이 삭제 된다? ..

> 자바스크립트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는 점을 항상 기억하기 =>stack과 Queue를 바쁘게 하지 말아야한다. 복잡한 연산이나 for문 중복 지양할 것

>2021/12/1 오늘 벌써 12월이라니 .... 🤨 >출처 : 오늘정리한 모든 내용은 인프런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지식' 강의 - IP(인터넷 프로토콜)? 수많은 컴퓨터에 고유한 주소를 부여해준다. 패킷이랑는 통신단위에 IP주소를 담아서 통신한다. - IP의 한계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상대가 없거나 서비스 불능상태여도 패킷은 무조건 전송됨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을 유실할 수도 있고 순서가 보장이 안됨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2개이상이여도 구분이 안됨 > IP의 한계를 해소해주기 위해 TCP프로토콜이 등장!!! - TCP 특징 연결지향 - 3way handshake (논리적으로 연결되는것 ! 물리적인 연결아님) 데이터 전달 보증, 순서 보증 신뢰할 수 있는 프..
1.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이다. 2.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는 클래스가 필요없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3. ES5에서는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을 통해 객체지향 언어의 상속을 구현할 수 있다. var Person = (function(){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프로토타입 메서드 Person.prototype.sayHi = function(){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생성자 함수 반환 return Person; }()); //인스턴스 생성 var me = new Person('Hana'); me.sayHi(); //Hi My n..
1. 암묵적 결합 전역변수 선언은 코드 어디서든 참조하고 할당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의미, 이는 모든 코드가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변경 할 수 있는 암묵적 결합을 허용하는 것이다. 변수의 유효범위가 크면 클수록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진다. 2. 긴 생명주기 전역변수는 생명주기가 길다. 따라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가간 소비한다. 특히 var키워드는 변수의 중복선언을 허용하므로 생명 주기가 긴 전역 변수는 변수의 이름이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변수 이름이 증복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이 이뤄진다. 3.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상에서 종점에 존재. 변수를 검색할 때 전역변수가 가장 마지막에 검색된다. 따라서 검색속도가 가장느..
> 2021/11/22 - 2021/11/27 Node.js 기본주차 이번주차는 지난주에 이어서 CRUD게시판에 회원기능과 댓글기능을 추가 하는 거였다. 하고나서 하면서 깨달은 점인데 나는 아직 REST의 개념이 부족하고 REST하게 클린하게 코드를 적지 못한다. 물론 내가 코드를 다 짜서 기능을 구현하는거라 어쩔 수 없나? 그런 생각이 들지만... 나는 내가 직접 코드를 구현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데 어떻게 그런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아직 모르겟다.. 잘하고 싶은데 잘 안되니까 좀 짜증났나?? 이번주는 좀 그랬다 🥲 >ORM? Object-Relational mapping 객체관계매핑의 약어로 데이터베이스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간의 호환되지 않는 데이터를 변환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객체지..

>2021/11/27 테스트 주도 개발을 하는 이유? 1. 디버깅 시간을 단축해준다. 테스팅 환경이 구축되어있다면 자동화 된 유닛 테스팅으로 특정 버그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2. 테스트 코드와 함께 작성된 코드는 안정적인 어플리케이션이 된다. 3. 추가구현이나 재설계에 용이하다. 단위테스트? 단위테스트는 개발자가 수행하고 자신이 개발한 코드단위(모듈, 구성요소)를 테스트 한다. 소스코드의 개별 단위를 테스트하여 사용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방법. => 메서드를 테스트하는 또다른 메서드 단위 테스트 조건 : 독립적이어야 하고, 다른 어떤 테스트에 의존하지 않는다. 단위 테스트 하는 이유 : 프로그램이 크고, 서버구동하는데 오래 걸릴경우 로컬에서 쉽게 코드를 실행하기 어렵다 => 유닛테스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