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A -J

HTTP 본문

what I Learnd/TIL

HTTP

Hana-J 2021. 12. 17. 00:33

1. 상태코드

 

2xx (Successful)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

  • 200 (OK) : 요청성공
  • 201(Created) : 요청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
  • 202(Accepted) : 요청이 접수 되었으마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음 
  • 201(No Content) : 서버가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응답 페이로드 불문에 보낼 데이터가 없음 ex)save

4xx(Client Error) : 클라이언트 오류

- 클라이언트 요청에 잘못된 문법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오류의 원인은 클라이언트에 있음

  • 400 (Bad Request) : 클라이언트가 잘못된 요청을 해서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요청파라미터가 잘못되었거나 API스펙이 안맞을때 
  • 401 (UnAuthorized) : 클라이언트가 해당 리소스에 대한 인증이 필요함
  • 403 : 서버가 요청을 이해했지만 승인을 거부함 ex) 주로 인증 자격증명은 있지만, 접근권한이 불충분한 경우
  • 404 (Not Found) : 요청 리소스를 찾을수 없음 

5xx(Server Error) : 서버문제로 오류발생, 재시도하면 성공할 수 있음

  • 500 (Internal Server Error): 애매하면 서버오류
  • 503 (Server unavailable) : 서비스 이용불가 (서버가 일시적인 과부하 또는 예정된 작업으로 잠시 요청처리 할 수 없는상태)

2. HTTP 헤더

헤더는 HTTP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 정보를 담고 있다. ex) 메세지 바디내용, 바디크기, 압축, 인증, 요청클라이언트

 

2-1. HTTP바디

  • 메세지 본문을 통해 표현데이터 전달 (메세지본문 = payload)
  • 표현은 요청이나 응답에서 전달할 실제 데이터
  • 표현헤더는 표현 데이터를 해석 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데이터유형 : html, json, 데이터길이, 압축정보 등등)

2-2.표현

  • Content-Type : 표현데이터의 형식
  • Content-Encoding: 표현데이터의 압축방식
  • Content-Language : 표현데이터의 자연언어
  • Content-Length: 표현데이터의 길이
  • 표현헤더는 전송, 응답 양쪽다 사용

2-3.협상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요청

  • 0~1, 클수록 높은 우선순위
  • 구체적인 것이 우선된다
  • 구체적인 것을 기준으로 미디어 타입을 맞춘다.
728x90

'what I Learnd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quelize - left outer join  (0) 2021.12.30
Sequelize findAll , dataValues만 가져오기  (0) 2021.12.23
TIL - Sequelize  (0) 2021.12.15
TIL - invalid ELF header  (0) 2021.12.10
TIL -CORS  (0) 2021.12.0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