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A -J

TIL - 2021/11/01 본문

what I Learnd/TIL

TIL - 2021/11/01

Hana-J 2021. 11. 1. 22:13

Git & Github & TIL

 

1. Git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커밋단위로 프로젝트의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

- 작업단위를 나누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 협업을 하기에 최고이다.

 

2. Git VS Github ?

 

- Git : 프로젝트의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

- Github : Git의 원격저장소,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3. Commit

 

- git에 저장하는 단위, 현재 까지 작업한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

 

4. Repository

 

- 프로젝트를 담는 그릇! 

 

5. branch

- 협업을 하면서 개인이 개발을 해야할 부분을 할당 받으면 하나의 레포지토리에 메인브랜치를 기준으로 각 기능에 맞는 브랜치를 나누어 작업을 하고 작업내용을 합칠 수 있다.

 

- 장점 :  기능별로 브랜치를 나누어 작업할 공간을 나누기 때문에 협업을 하기에 좋다.

              실수로 메인프로젝트에 커밋하거나 프로젝트를 삭제하는 위험 부담을 줄일수 있다.

 

6. Merge

- 브랜치의 작업 내역(commit)들을 다른 브랜치로 합치는 것을 머지라고 한다. 

 

<! 지금 당장 기억해야 하는 부분 >

흐름을 기억하자 !!

1. 원격레포의 메인브랜치에서 풀 받기

2. 내가 맏은 이슈의 작업브랜치를 생성하기

3. 작업하기

4. 커밋하기

5. 푸시하기

6. 원격레포에서 pr만들기

7. 머지하기

 

TIL (Today I Learned)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배운것을 정리하자: 프로젝트중 정리한 부분을 보며 스스로를 회고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면접준비를 할 수 있다.

- TIL의 이상적인 흐름도?! => 논리적으로 문제를 접근하고 해결했는지를 보여주는게 중요하다.

1. 요구사항, 문제 상황을 정리한다.

2.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솔루션들의 장/단점을 프로젝트에 대입해 고려해본다.

3. 현재의 상황, 제약조건을 정리하고 시도한 결과를 정리

4. 시도한 방법을 사용 했을 때 장점과 만약 단점이 있다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

 

TIL VS WIL

 

WIL(Weekly I Learned)

- 일주일동안 공부하면서 습득한 자료를 정리하고, 문화를 회고하는 형식으로 정리

- 원인과 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action plan(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수립하는 것이 최종 목표!

 

오늘 배움에 도움을 주신 멘토님들의 공통된 가르침 

- 팀에서 개인의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모두가 모두를 이끌어야 한다. 팀내의 문제는 팀이 해결한다!!

 

 

 

 

 

 

 

728x90

'what I Learnd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2021/11/10  (0) 2021.11.10
TIL - 2021/11/09  (0) 2021.11.10
TIL - 2021/11/08  (0) 2021.11.08
TIL - 2021/11/04  (0) 2021.11.04
TIL - 2021/10/28  (0) 2021.10.28
Comments